윈도우11 홈 프로 차이점에 대해 명확하게 알고 싶은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글에서 윈도우11의 두 가지 버전의 차이점에 대해 누구나 알기 쉽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럼 홈 버전과 프로 버전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윈도우11 홈과 프로란?
안녕하세요!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요즘 많은 컴퓨터에 윈도우11이 탑재되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 윈도우11은 보통 개인사용자들에게는 홈(Home)과 프로(Pro) 버전이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 두가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궁금한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홈 버전과 프로 버전에 대해 아주 간단히 정리하면 홈은 개인사용자용이고 프로는 전문가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단히 ‘프로 = 홈 + 추가적인 고급 기능들’과 같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요즘 시중에 판매되는 윈도우11이 탑재된 노트북 제품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홈 버전입니다. 아무래도 개인사용자들에게 가장 적합하기 때문일 텐데요.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홈 버전이 프로 버전보다 기능이 적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일반적으로 특정 작업이 안 되는 경우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외에도 윈도우는 생각보다 정말 다양한 제품군이 있습니다. 프로 포 워크스테이션(Pro for Workstation), 에듀케이션(Education), 프로 에듀케이션(Pro Education), 엔터프라이즈(Enterprise), 엔터프라이즈 LTSC(Enterprise LTSC), IoT 엔터프라이즈(IoT Enterprise), IoT 엔터프라이즈 LTSC(IoT Enterprise LTSC)라는 버전들이 존재합니다.
이 버전들은 이름처럼 교육용이나 기업에 특화된 기능들을 위주로 만들어졌는데 다만 개인사용자들이 홈과 프로 외의 다른 버전을 접할 일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어서 홈과 프로의 주요 특징을 알아보고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정리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아직 이전 버전을 사용중이어서 윈도우11 업그레이드에 관심이 있다면 아래 글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윈도우11 업그레이드 기간과 조건 및 설치하는 방법! (+사용 후기)
윈도우11 Home 버전의 주요 특징
윈도우11 홈 버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대상 : 개인사용자, 가정용
- 기능 : 인터넷 서핑, 문서 작성, 영상 시청, 게임 등 일반적인 기능 위주
- 보안 : Windows Defender(쉽게 말해 백신)로 기본적인 보안 기능 제공
- 클라우드 관련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한 원드라이브(OneDrive)와 동기화 기능
- 가상화 : 가상화 기능 자체적으로 미지원
- 기타 특징 : 개인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친숙한 인터페이스
보는 것처럼 홈 버전은 개인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가격이 프로 버전보다 더 저렴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버전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니까 대학생이든 일반적인 사무를 보는 직장인이든 사실 어떤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대부분의 작업을 다 할 수 있는 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라고 한 이유는 프로에는 없는 기능들이 있는데 마침 그 기능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홈에서는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요즘 대부분의 데스크탑이나 노트북들이 이 버전을 탑재하고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상 프로 버전의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가 그렇게 많지 않을 뿐더러 가격도 저렴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럼 이어서 프로의 특징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윈도우11 Pro 버전의 주요 특징
윈도우11 프로 버전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 대상 : 전문가, 기업용
- 기능 : 일반적인 기능에 더해 고급 보안 기능 BitLocker(디스크 암호화 기능) 제공
- 보안 : Windows Defender(쉽게 말해 백신)로 기본적인 보안 기능 제공, BitLocker로 디스크 암호화 제공
- 클라우드 관련 :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한 원드라이브(OneDrive)와 동기화 기능, 기업용 Azure AD(Azure Entra ID, 클라우드 기반 ID관리 서비스) 기능
- 가상화 : Hyper-V로 가상의 운영체제 구축 가능, Sandbox로 가상 환경의 앱 테스트 가능
- 기타 특징 : 다른 컴퓨터에서 연결해서 조작할 수 있는 원격 연결 지원
보는 것처럼 프로 버전은 전문가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가격이 홈 버전보다 더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버전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굳이 전문가용이라고 구분짓긴 하지만 프로 버전도 누구나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대학생이나 일반적인 사무를 보는 직장인이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될 기능들 예를 들어 가상화 기능같은 추가적인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을 뿐입니다. 그런데 가격이 약 12만원 정도 더 비싸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프로 버전의 장점을 잘 느낄 수가 없죠.
그러면 이어서 이 둘을 표로 정리해서 한눈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11 홈 프로 차이점 정리
앞서 홈과 프로의 특징에 대해서 몇 가지 알아 보았는데요. 이 내용을 서로 비교하기 쉽게 표로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능 | 윈도우11 홈 | 윈도우11 프로 | 예시 및 참고사항 |
대상 | 개인, 가정용 | 전문가, 기업용 | 대학생이 사용하는 노트북(홈) vs 회사원이 사용하는 업무용 노트북(프로) |
가격 | 상대적으로 저렴 | 상대적으로 고가 | 대부분 홈 버전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많음 |
보안 | Windows Defender (백신) | Windows Defender (백신) BitLocker (디스크 암호화) | 프로는 BitLocker 기능으로 분실된 노트북의 데이터 보안성이 높음 |
원격 데스크탑 | 지원 안함 | 지원 | 프로는 회사에서 집의 PC에 원격 접속해 작업 가능 (프로만 호스트(주최자)가 될 수 있음) |
가상화 | 지원 안함 | 지원 | 프로는 개발자가 윈도우 안에 가상으로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음 |
Azure AD(Azure Entra ID) 연동 | 지원 안함 | 지원 | 프로는 Azure AD를 통해 회사 이메일 계정과 클라우드 데이터 통합 관리 가능 |
그룹 정책 관리 | 지원 안함 | 지원 | 프로는 IT 관리자가 회사 직원들의 PC 설정을 제어 가능 |
최대 지원 RAM | 128GB | 2TB | 램 용량은 많을수록 좋지만 테라바이트(TB) 단위를 넘어가는 경우는 잘 없고 64GB를 넘어가는 것도 흔하지 않으므로 홈 버전에 큰 제약은 없음 |
CPU 및 코어 | 최대 1개 / 최대 64코어 | 최대 2개 / 최대 128코어 | 일반적인 컴퓨터에 CPU는 1개이며 64코어에 근접하는 경우도 잘 없으므로 홈 버전에 큰 제약은 없음 |
보면 개인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홈과 프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홈은 개인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프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 그리고 홈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프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점입니다.
요즘 노트북의 경우 윈도우를 빼서 가격을 낮춘 프리도스(FreeDOS) 제품들이 상당히 많은데요. 이런 노트북을 구매하면 윈도우를 따로 구매해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이 때 현재 글을 쓰는 시점 기준으로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홈 버전은 약 20만원, 프로 버전은 약 32만원 정도입니다. 둘 다 저렴하게 느껴지지는 않지만 프로 버전의 경우 가격부담이 더 심합니다.
사실 앞에 설명드린 특징 외에 보안, 원격 데스크탑, 가상화 등 나머지 항목들은 개인사용자가 고려할 일이 그다지 잘 없는 항목들입니다. 어차피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를 구매 후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 예를 들어 포토샵, 오피스 등을 설치해서 자신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중 원격 데스크탑 기능의 경우 홈 버전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라는 것에 오해가 있을 수도 있는데요. 이것은 ‘프로만 원격 제어를 하는 호스트(주최자)가 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홈은 원격 제어를 받는 클라이언트(대상)는 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원격 제어는 꼭 윈도우에서 제공하지 않아도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 대표적으로 구글의 크롬 원격 데스크톱(구글 브라우저에서 실행됨)이나 팀뷰어(프로그램 설치해야함, 유료)와 같은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다만 기업에서는 보통 인터넷의 반대 개념인 인트라넷(내부망)을 많이 이용하는데요. 보안을 위해서 이러한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원격 제어를 막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관련해 공식적인 내용을 보고 싶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1 홈 프로 비교 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라이센스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 글에서 윈도우10 라이센스 종류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을 기준으로 설명드리지만 윈도우11도 동일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윈도우10 라이센스 종류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말자!
어떤 버전이 나에게 맞을까?
여기까지 윈도우11 홈 프로 비교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새로 윈도우가 출시되어도 보통 마이크로소프트는 홈과 프로 두 가지 버전을 나누어서 출시해오고 있는데요.
윈도우를 구매하려고 하는 분들이라면 이 두 가지 중 내게 맞는 버전이 뭐가 좋을지 고민될 수가 있습니다. 조금 딱딱하게 얘기하면 앞의 내용을 요약해 단순히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홈 : 주로 웹서핑, 문서 작성, 유튜브 감상, 게임 등의 용도
- 프로 : 홈 버전에서 하는 일+디스크 암호화, 가상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시 홈 버전으로도 충분하다고 얘기드리고 싶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일단 프로 버전의 가격이 개인사용자가 구매하기에는 너무 비싸다는 점입니다. 별로 사용할 일 없는 기능을 위해 10만원이 넘게 더 주고 윈도우를 구매하는 것은 대부분 부담이 될 것입니다.
또한 프로 버전만의 기능인 비트락커, 원격 데스크탑, 가상화 같은 기능들은 특히 컴퓨터를 공부해서 이 기능들이 필요하거나 또는 IT쪽에 종사하는 분들이 아니라면 사실 잘 쓰지 않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홈 버전을 이용한다고 해서 실질적으로 어떤 제약이 있어서 불편을 느낄만한 요소가 사실상 없다는 점도 홈 버전을 추천드리는 이유입니다.
다만 반대로 프로 버전의 기능이 꼭 필요하다면 오히려 홈 버전을 사면 안 되겠죠. 경우에 따라서는 꼭 프로버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앞서 알려드린 내용들을 구매하기 전에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윈도우11을 설치하기 위한 USB를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윈도우11 USB 만들기 과정을 정리한 글에서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윈도우11 USB 만들기! 차근차근 따라하며 만들어보기
마치며
여기까지 윈도우11 홈 프로 다른점에 대해서 알아 보았는데요.
최근 환경에서는 윈도우10과 윈도우11이 혼용되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윈도우10도 물론 좋지만 이제는 점점 윈도우11로 무게가 실리는 것 같습니다.
윈도우11을 사용할 때 홈과 프로 버전 차이가 궁금할 수 있습니다. 사실 개인에게는 그다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홈 버전만으로도 충분히 잘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이 윈도우11의 홈과 프로간의 차이점이 궁금한 분들에게 좋은 가이드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