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드라이브 용량 및 가격을 찾고 계셨다면 이 포스팅을 봐주세요.
이 포스팅에서는 구글 드라이브 기본 무료 용량 및 요금제를 비롯해서 구글 드라이브 사용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이 포스팅에서 한번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목차에서 지금 바로 관련 내용을 알아보세요!
목차
구글 드라이브 용량 및 가격 총정리
안녕하세요!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대용량 시대에 접어든 요즘 점점 내가 가진 컴퓨터의 저장공간이나 심지어는 외장하드디스크로도 자료저장 공간이 부족할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외장하드디스크를 늘 챙겨다니는 것도 불편할 때가 있고 또는 파일을 더 편리하게 관리하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고민하게 되는데요.
이번 섹션은 그 중에서도 편의성이 좋다고 평가받는 구글 드라이브 용량 및 가격을 정리해서 알려 드립니다.
구글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하기
먼저 구글에 방문해서 검색창에 구글 드라이브 가격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상단 검색 결과에서 요금제 및 가격 – Google One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공식 페이지에서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 확인을 할 수 있는데요.
혹시 요금이 보이지 않는다면 제일 상단 메뉴의 요금제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월단위 그리고 연단위의 요금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면 월간 요금제는 100GB부터 30TB까지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간 요금제는 100GB부터 5TB까지만 제공하고 10TB, 20TB, 30TB는 월별로 결제하는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용량 및 가격 정리
구글 드라이브 기본 용량은 무료로 15GB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 이미지는 요금제가 바뀌기 전의 기준으로 2TB까지의 용량을 정리한 내용인데요.
현재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를 전체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기본 (무료) – 15GB 제공
- Basic (유료) – 100GB 제공 / 월 2,400원 / 1년 24,000원
- Standard (유료) – 200GB 제공 / 월 3,700원 / 1년 37,000원
- Premium (유료)
- 2TB 제공 / 월 11,900원 / 1년 119,000원
- 5TB 제공 / 월 29,750원 / 1년 297,500원
- 10TB 제공 / 월 59,500원 / 1년 없음
- 20TB 제공 / 월 119,000원 / 1년 없음
- 30TB 제공 / 월 178,500원 / 1년 없음
보면 앞서 얘기한 것처럼 구글 계정이 있는 경우 무료로 15GB가 제공됩니다.
그리고 유료인 Basic 부터는 용량이 증가하며 Google 전문가 상담, 5명과 공유 기능, 구글 포토 편집 기능이 제공됩니다.
유료 요금제인 Basic, Standard, Premium 3가지 모두 연간 이용시에는 17%할인이 되는데요.
단 연간 Premium의 경우 5TB까지만 제공이 되며 10TB이상부터는 월단위 결제로만 이용할 수가 있습니다.
연간 이용시 한달 요금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결론적으로 10개월 요금으로 1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므로 2달 요금을 할인해 주는 것과 같습니다.
추가적으로 팁을 하나 드리면 구글 드라이브 무료 용량 늘리는 방법은 계정을 여러개 만드는 것인데요.
이 용량은 계정마다 제공되기 때문에 계정이 여러개 있으면 그만큼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하면 계정별로 구글 드라이브의 용량이 따로 적용된다는 불편함도 있습니다.
구글 드라이브 용량에 대해 알아야 할 점
한 가지 알아야 할 내용은 구글이 제시하는 용량은 지메일, 구글 포토, 구글 드라이브를 합친 용량이라는 점입니다.
- 구글 드라이브 용량 = 드라이브(클라우드) + 지메일 + 구글 포토
만약 유료로 사용을 고려한다면 한달 사용료로 아메리카노 한잔 정도의 가격인 Basic이나 Standard 플랜을 이용한다면 꽤 넉넉하게 구글 드라이브를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무료인 구글 드라이브 기본 용량은 15GB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용량 관리를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로 크롬에서 구글 드라이브에서 메뉴를 몇 번 찾아 들어가면 용량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데요.
먼저 구글 드라이브에 접속 후 좌측 하단의 저장용량 구매를 클릭합니다.
그 후 왼쪽 메뉴의 홈을 클릭하고 우측 하단의 여유공간 확보하기 아래의 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계정 스토리지 정리 메뉴로 들어오게 되고 여기서 한번에 구글 드라이브, 지메일, 구글 포토에 대해 각각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보면 위와 같이 한번에 드라이브, 지메일, 구글 포토에 대해 필요시 각각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는 검토 및 정리 옵션이 표시됩니다.
이 옵션을 들어가면 해당 항목에 대한 리스트가 나오게 되고 필요없는 부분을 클릭 후 우측 상단의 삭제 버튼을 누르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지메일을 사용하다 보면 네이버 메일과 같은 외부 메일을 가져오고 싶을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한 설정 과정을 모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 Tip - 놓치면 안 될 연관 포스팅!] 구글 툴즈 | 한 번만 제대로 설정해두면 편리한 Gmail 메일 가져오기 단계별 가이드
여기에 더해 Gmail은 상당히 편리한 메일이지만 네이버 메일과 달리 수신확인 기능이 없는데요.
만약 Gmail에서 상대방이 메일을 받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원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추가 Tip - 놓치면 안 될 연관 포스팅!] 구글 툴즈 | 상대방이 메일을 받았는지 알 수 있는 Gmail 수신 확인 설정 가이드
또한 지메일을 사용할 때 메일을 전체삭제하는 버튼이 보이지 않아 궁금한 분도 있을 텐데요.
이 때는 아래 포스팅이 해결방법을 알려줄 것입니다.
[추가 Tip - 놓치면 안 될 연관 포스팅!] 구글 툴즈 | 메일을 한꺼번에 지울 수 있는 Gmail 전체 삭제 방법 알아보기
추가적으로 구글 드라이브 워크스페이스라고 해서 비즈니스용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명이 이용가능한 클라우드 서비스인데요.
관심이 있다면 자세한 내용은 구글 드라이브 워크스페이스 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아이클라우드는 유료 그리고 구글 드라이브는 무료로 이용중입니다.
하지만 점점 구글의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어서 구글 드라이브의 유료 요금제도 같이 고려하고 있는 중입니다.
구글 드라이브 무료 용량으로 충분할까?
앞서 본 것처럼 구글 드라이브 용량은 무료로 사용시 기본으로 15GB가 제공됩니다.
만약 내가 이미지, 동영상 등 용량이 큰 파일들을 저장할 일이 많다면 구글 드라이브 기본 용량인 15GB로 사용하기에는 아무래도 무리가 있습니다.
고화질 이미지만 해도 메가바이트 단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기가바이트 정도는 쉽게 차기 마련인데요.
하지만 이미지, 동영상 그 외 무거운 파일을 이용하지 않고 용량이 수 키로바이트 정도의 문서 저장용으로 이용한다면 유료료 이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문서하나의 용량이 10KB라고 가정하면 산술적으로는 15GB 용량에 150만개의 문서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용량의 이미지나 동영상도 많이는 저장하지 못하지만 어느정도 이용 가능하죠.
따라서 구글 드라이브 무료 용량은 용도에 따라서 꼭 돈을 지불해가며 이용할 필요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들도 보통 최소 2~5GB 이상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서비스들과 같이 이용한다면 비용을 따로 들이지 않아도 가볍게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는 개인용으로 사용할 때 최대 2개 이상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편의성에 좋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많이 사용하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의 무료 용량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구글 드라이브 15GB
-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 5GB
- 네이버 마이박스 30GB
- 아이클라우드 5GB
- 드롭박스 2GB
보면 네이버 마이박스가 가장 많은 30GB 용량을 제공하고 그 다음이 15GB를 제공하는 구글 드라이브입니다.
나머지 원드라이브, 아이클라우드는 5GB까지 그리고 드롭박스는 2GB까지만 제공해서 사실상 클라우드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하기에는 제약이 큽니다.
결론적으로 구글 드라이브는 하드하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면 문서저장용으로 무료로 이용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구글 드라이브 가격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100GB의 Basic이든, 200GB의 Standard이든 한달에 아메리카노 한잔 정도의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유료로 이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장기간 사용 후 느끼는 구글 드라이브 장단점
이번 장은 구글 드라이브의 장단점에 대해 작성합니다.
이 내용은 직접 구글 드라이브를 장기간 사용해 보면서 느낀 주관적인 생각이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용으로 봐주시기 바라며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장단점은 다를 수 있다는 점도 알려 드립니다.
장점 – 크롬과의 연계성 / 실시간 문서 작업
구글 드라이브의 장점은 구글의 브라우저인 크롬과의 연계성입니다.
크롬 브라우저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많은 브라우저이고 이미 국내점유율도 상당히 높은데요.
크롬에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메뉴에서 바로 구글 드라이브로 진입을 해서 파일 관리를 할 수 있다는 편리한 점이 있습니다.
참고로 구글 드라이브 동기화를 위해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컴퓨터에서 바로 탐색기처럼 이용도 가능한데요.
개인적으로는 컴퓨터 최적화를 위해서 가능하면 탐색기 형태로 설치되는 방식은 선호하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편리한 점은 엑셀, PPT, 워드 파일을 구글 도구인 구글 슬라이드, 스프레드 시트 등으로 열면 추가적인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바로 구글 드라이브와 연계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수정한 문서는 실시간으로 저장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됩니다.
[추가 Tip - 놓치면 안 될 연관 포스팅!] 구글 툴즈 | 한 번 알아두면 편리한 구글 드라이브 공유방법
그럼 이어서 구글 드라이브의 단점에 대해서 작성합니다.
단점 – 느린 업로드, 다운로드 속도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 부분은 인터넷의 문제일 가능성도 있지만 저는 집에서 사용하는 500Mbps 인터넷 (실제 속도 대략400~470Mbps)과 회사에서 이용하는 100Mbps 인터넷 (실제 속도 대략 50~70Mbps) 모두 체감상 속도가 느리다고 느껴졌습니다.
물론 저 같은 경우 필요시 다운로드, 업로드를 해놓고 다른 작업을 하기 때문에 크게 불편함이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클라우드 서비스의 속도가 느리다면 불편함을 느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인터넷의 문제일 가능성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애플의 아이클라우드 역시 그렇게 업로드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지 못한 것을 보면 구글 드라이브만의 문제는 아닐 거라 생각됩니다.
따라서 어떤 클라우드 서비스든 먼저 무료로 이용을 해보고 속도가 자신의 환경에 맞다면 그 때 가서 유료료 이용을 고려해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는 합리적일까?
구글 드라이브 요금제는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와 비교해서 합리적일까요?
아래는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인용으로 이용할 때 유료 가격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 가격 |
구글 드라이브 | 15GB 무료 / 100GB 월 2,400원 / 200GB 월 3,700원 |
원드라이브 | 5GB 무료 / 100GB 월 1,900원 |
네이버 클라우드 | 30GB 무료 / 80GB 1,650원 / 180GB 월 3,300원 |
아이클라우드 | 5GB 무료 / 50GB 월 1,100원 / 200GB 월 3,300원 |
드롭박스 | 2GB 무료 / 2,000GB 월 14,599원($11.99 현재환율) |
참고로 위에 정리한 내용은 개인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요금제만을 정리한 것임을 알려 드립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각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요금제만을 놓고 비교해보면 구글 드라이브 월 가격이 조금은 비싸다고 느끼실 수 있는데요.
중요한 것은 1년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가격은 2달치 요금이 할인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개인적으로 구글 드라이브를 선호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드린 편의성 때문입니다.
특히 크롬 브라우저를 이용할 경우 편의성이 극대화 되는데요.
컴퓨터가 바뀌어도 인터넷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크롬에 로그인만 하면 즐겨찾기를 포함해서 구글 드라이브를 포함해 다른 구글 서비스들을 바로바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최대 장점입니다.
[추가 Tip - 놓치면 안 될 연관 포스팅!] 구글 툴즈 | 아직 몰랐다면 지금 바로 써봐야 할 크롬 확장프로그램 추천
참고로 네이버의 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면 마이박스가 그리고 애플의 제품을 많이 이용한다면 아이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저는 윈도우 노트북보다는 맥북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애플 제품끼리 사용할 경우에는 아이클라우드도 무척 좋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드롭박스의 경우 무료는 2GB로 매우 작고 유료는 2000GB부터 제공하기 때문에 용량 선택의 폭이 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드롭박스의 경우 서비스한지 오래되었고 안정성이 좋다는 평가도 많은 만큼 대용량 파일을 주로 이용한다면 고려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여기까지 구글 드라이브 용량 및 가격에 대한 내용을 마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예전과는 다르게 이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편리한 서비스로 안정화도 많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보안에 대한 걱정은 있으나 언제까지나 자료를 외장하드나 USB메모리 등에만 저장하고 있을 순 없으므로 좋은 서비스라면 유료라 하더라도 사용해 보는 것을 고민해 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여기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by 컴퓨터앤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