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내 컴퓨터 그래픽카드 보는법 10가지

사용중인 내 컴퓨터의 그래픽카드가 무엇인지 그리고 사양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 그래픽카드 보는법과 더불어 이와 관련한 사양의 의미에 대해서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 그래픽카드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실질적인 방법들을 소개드립니다.


목차


장치관리자에서 그래픽카드 보는법

모든 포스팅 첫번째 헤딩 이미지

안녕하세요!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바로 그래픽카드 확인 방법을 알아볼 텐데요. 장치관리자는 기본적으로 알려져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1)먼저 하단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장치 관리자를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장치관리자 검색
장치 관리자 – 검색

이 장치관리자는 작업표시줄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 ‘장치 관리자’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는 윈도우키+R을 누른 후 devmgmt.msc를 입력해서도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2)그러면 아래와 같이 장치관리자가 실행됩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더블클릭하거나 왼쪽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바로 그래픽카드 종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장치관리자 확인
그래픽카드 체크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그래픽카드 종류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인데요. 이 장치관리자에서는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설치된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드라이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만약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다면 잘못 설치된 드라이버를 통한 엉뚱한 그래픽카드 이름을 보여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 소개드리는 다른 방법들 중 몇 개 정도는 같이 확인해 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만약 그래픽카드에 대해 자세히 보고싶다면 목차를 참고해 GPU-Z를 이용한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확인하는 방법

다음으로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자주 이용하게 되는 설정창을 이용한 그래픽카드 보는법입니다.


(1)먼저 하단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왼쪽 메뉴에서 시스템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만약 다른 메뉴가 선택되어 있다면 시스템을 클릭 후 우측에서 디스플레이를 클릭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설정 디스플레이
설정 – 디스플레이

(2)그리고 우측 메뉴에서 스크롤을 해서 내려가 고급 디스플레이를 클릭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설정 디스플레이 고급
고급 디스플레이

(3)그러면 아래와 같이 그래픽카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설정 디스플레이 고급 확인
그래픽카드 체크

여기서 V28UE는 제가 사용중인 주연테크 모니터의 모델명입니다. 그 아래에 보면 디스플레이1이라고 되어 있는 항목에서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여기서는 위와 같이 해상도와 주사율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해상도 : 가로와 세로의 픽셀(Pixel) 개수를 나타내주는 수치
  • 주사율 : 초당 화면에 보여주는 이미지수

해상도와 주사율은 모니터의 사양이지만 중요한 항목들이기 때문에 여기서 확인한다는 점을 알아두면 좋을 것입니다.


📚개념 이해하기 – 해상도(Resolution)란?

이 예시에서 해상도가 3840×2160으로 표시되는데 이것은 4K를 의미합니다. 최근까지도 모니터와 노트북에서도 FHD(1920×1080) 디스플레이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 FullHD 해상도도 사용자가 보기에 충분히 좋은 화면을 구현해 줍니다.

하지만 그 이상의 QHD(2560×1440)와 4K(3840×2160)의 경우 실제로 사용해보면 정말 선명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저는 FHD, QHD, 4K 모두 사용해 보았는데요. 특히 4K를 사용했을 때는 화면에 눈을 가까이 대고 보아도 픽셀이 깨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말 선명하다는 것을 체감으로 가장 많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


📚개념 이해하기 – 주사율(Refresh Rate)이란?

주사율은 Hz 단위를 쓰는데요.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이미지의 개수가 많으면 동작이 더 부드럽게 느껴진다는 것을 대부분 알고 있을 것입니다. 주사율 역시 이와 같은 개념입니다. 초당 화면에 보여지는 이미지수라고 이해하면 간단하죠. 주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욱 부드러운 화면을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이 좋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주사율까지 신경쓰는 분들은 많이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게임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이 주사율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입니다. 최소 60프레임 정도가 되어야 자연스러운 화면이라고 느껴지는데요. 흔히 ’60프레임 방어가 되는지(=게임에서 항상 최소 60프레임은 되는지)’ 궁금한 이유가 이것입니다.

그런데 주사율에 따른 차이를 많이 느끼는 사람과 잘 못 느끼는 사람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주사율에 민감한지는 직접 사용해 보아야 알 수 있습니다.


다이렉트X 진단도구를 활용한 방법

또다른 윈도우에서 바로 확인하는 방법은 다이렉트X 진단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1)먼저 하단 작업표시줄의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검색을 클릭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다이렉트X 검색
다이렉트X 진단도구 – 검색

(2)그 후 검색창에 dxdiag를 검색해서 실행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다이렉트X 검색 실행
다이렉트X 진단도구 – 실행

참고로 이 장치관리자는 작업표시줄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해 ‘dxdiag’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는 윈도우키+R을 누른 후 dxdiag를 입력해서도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3)그러면 다이렉트X 진단도구가 실행되고 상단탭이 시스템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상단탭 중 디스플레이를 클릭하면 바로 아래와 같이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다이렉트X 검색 실행 확인
디스플레이 – 그래픽카드 체크

여기서 볼 수 있는 이름은 사실 GPU의 이름입니다. 이 다이렉트X 진단도구는 원래 컴퓨터의 사양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디스플레이 부분에서 꽤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위 사진처럼 해상도와 주사율 그리고 VRAM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각각의 항목들을 포함해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글에서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내 컴퓨터 사양 확인하는 자세한 6가지 방법 알아보기



GPU-Z를 이용해 자세하게 확인하는 방법 (무료 / 무설치)

GPU-Z는 유명한 그래픽카드의 사양을 자세히 확인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의 기본 기능으로 확인하는 법 외에 가장 먼저 사용해 볼만한 프로그램입니다. 실제로 GPU-Z는 그래픽카드의 사양을 가장 자세하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이 활용됩니다.


(1)먼저 GPU-Z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GPU-Z를 다운로드한 후 실행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무설치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바로 실행하면 되겠습니다.

그래픽카드 보는법 GPU-Z 다운로드
GPU-Z 다운로드 (출처 : TechPowerUp)

(2)그리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작은 크기의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그래픽카드 보는법 GPU-Z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TechPowerUp)

보면 상단의 탭 중 Graphic Card가 선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Name 항목에서 내 컴퓨터의 그래픽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U-Z는 정말 유명한 프로그램이고 그래픽카드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어서 꼭 사용해 보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런데 보는 것처럼 정보들이 아주 많기 때문에 만약 각각의 항목을 자세하게 보고 싶다면 아래 GPU-Z 보는법을 정리한 글에서 모두 알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GPU-Z 보는법 자세히 알아보기! 항목별 뜻 알아보기 (2025)


Speccy를 이용해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방법 (무료, 유료 / 설치)

그래픽카드 보는법으로 Speccy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CPU-Z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컴퓨터의 전반적인 사양을 보기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1)먼저 Speccy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Speccy를 다운로드한 후 설치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peccy 다운로드
Speccy 다운로드 (출처 : CCleaner)

(2)그리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peccy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CCleaner)

여기서 왼쪽 메뉴가 기본적으로 Summary로 선택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우측 화면에서 바로 직관적으로 그래픽카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보면 2줄의 정보가 보이는데 이 예시에서 위에 있는 V28UE는 모니터 정보이고 그 바로 아래 있는 항목에서 컴퓨터 그래픽카드 확인이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CPU, 메인보드, 그래픽카드에 대해서는 온도를 확인해 볼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만약 CPU 온도 확인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에서 모두 알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CPU 온도 확인 방법 7가지 소개 및 적정 온도 알아보기


GPU Shark를 이용해서 보는법 (무료 / 무설치)

GPU Shark는 oZone3D.Net이라는 곳에서 제공하는 GPU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툴로 쉽고 간단하게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먼저 GPU Shark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GPU Shark를 다운로드한 후 실행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무설치이기 때문에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 gpushark.exe 파일을 바로 실행하면 되겠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GPU Shark 다운로드
GPU Shark 다운로드 (출처 : oZone3D.Net)

(2)그러면 아래와 같은 단순한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상단에서 내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GPU Shark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oZone3D.Net)

텍스트로만 되어 있어 조금 불편해 보이는 분들도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항목들을 보면 대부분 GPU-Z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부분들입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잘 맞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되겠습니다.


SysInfo Detector로 확인하는 방법 (무료, 유료 / 설치)

Sysinfo Detector는 컴퓨터 구성요소를 확인하기 위한 간편한 툴로 그래픽카드의 종류도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1)먼저 Sysinfo Detector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한 후 설치합니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은 포터블 버전도 있는데 여기서는 예시로 설치 버전으로 진행하겠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ysinfo Detector 다운로드
SysInfo Detector 다운로드 (출처 : SysInfo Detector)

(2)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보기 쉬운 형태로 컴퓨터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Videoadapter 항목에서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ysInfo Detector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SysInfo Detector)

약간 디자인이 옛날스러운 느낌이 없지 않아 있긴 하지만 아이콘을 기반으로 한 인터페이스로 알아보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Wise System Monitor 프로그램으로 보는법 (무료 / 설치)

Wise System Monitor는 이 블로그에서도 소개드린 메모리 정리 툴인 Wise Memory Optimizer를 만든 WiseCleaner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모니터링 툴입니다.


(1)먼저 Wise System Monitor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한 후 설치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Wise System Monitor 다운로드
Wise System Monitor 다운로드 (출처 : WiseCleaner)

(2)그리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 여기서 상단의 하드웨어 감시기를 클릭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Wise System Monitor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WiseCleaner)

그러면 보는 것과 같이 손쉽게 그래픽카드를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메뉴와 인터페이스가 아주 직관적으로 되어 있고 한글을 지원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CUDA-Z를 통한 확인방법 (무료 / 무설치 / 엔비디아만)

CUDA-Z는 GPU-Z의 이름을 패러디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의 정보를 볼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1)먼저 CUDA-Z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접속 후 상단의 메뉴중 Windows를 클릭합니다. 그 후 중간의 Windows 7/8/10 64-bit라고 되어있는 텍스트를 클릭해 CUDA-Z를 다운로드한 후 실행합니다.

주의할 점은 64비트를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 뒷부분의 텍스트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아 파일명에 ’64bit’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CUDA-Z 다운로드
CUDA-Z 다운로드 (출처 : CUDA-Z)

(2)그러면 아래와 같은 간단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데요. 상단의 메뉴가 Core로 선택되어 있고 아래에서 바로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CUDA-Z 실행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CUDA-Z)

이 프로그램도 보는 것처럼 그래픽카드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System Information Viewer를 활용하는 방법 (무료 / 설치)

마지막으로 컴퓨터의 다양한 정보를 텍스트와 표형태로 볼 수 있는 툴인 System Information Viewer로 그래픽카드 보는법을 소개드립니다.


(1)먼저 System Information Viewer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그러면 텍스트로 상당히 복잡하게 되어 있는데요. 이 중 Current Release Download 메뉴에서 siv.zip이라는 텍스트에 걸려있는 링크를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ystem Information Viewer 다운로드
System Information Viewer 다운로드 (출처 : System Informatino Viewer)

(2)압축 해제 후 64비트 컴퓨터 기준으로 SIV64X.exe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여기서 하단의 Status를 클릭 후 메뉴 중 GPU Status를 클릭합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ystem Information Viewer 실행 1
GPU Status 선택 (출처 : System Informatino Viewer)

(3)그러면 기존에 있던 창 대신 아래와 같이 그래픽카드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창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의 좌측 상단에서 그래픽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확인 System Information Viewer 실행 2
그래픽카드 체크 (출처 : System Informatino Viewer)

이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따라 조금 정신없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잘 보면 표 형태로 그래픽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해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세하게 보고 싶은 분들이라면 한번 사용해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여기까지 그래픽카드 보는법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았는데요.

부족하지만 아무쪼록 이 포스팅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