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설치 방법 3 STEP 따라하기! (+설치 후 할일)

새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설치하거나 또는 사용중인 컴퓨터에 재설치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여기서 초보자도 처음부터 끝까지 단계별로 따라할 수 있는 윈도우10 설치 방법을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이 글을 통해 설치 방법 및 주의사항과 설치 후 해야할 일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윈도우10 설치 방법 3 STEP

모든 포스팅 첫번째 헤딩 이미지

안녕하세요!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윈도우10을 설치하는 과정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여기서 알려드리는 내용을 따라가면 초보자분들도 필요에 따라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설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윈도우10의 정품키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모든 과정을 설명드립니다.

경우에 따라 윈도우10 FPP(처음사용자용)을 구매해서 정품키뿐만 아니라 설치 USB도 이미 가지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글의 STEP1 설치 USB를 만드는 과정은 건너뛰고 그 다음 과정으로 바로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 Tip – 윈도우10 정품키 확인하는 방법

지금 사용중인 윈도우를 재설치하기 위해서 미리 자신의 윈도우10 정품키를 확인하고 싶을 수도 있는데요.

1️⃣ 이 때는 KeyFinder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쉽게 정품키를 찾을 수 있습니다. (무료 버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만약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꺼려진다면 레지스트리에서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방법은 먼저 하단 검색창에서 cmd 또는 명령프롬프트를 검색해서 실행 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 다음 결과값에서 25자리 영문과 숫자가 혼합된 정품키를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reg query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SoftwareProtectionPlatform” /v BackupProductKeyDefault

참고로 FPP 외에도 어떤 라이센스들이 있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글에서 윈도우10 라이센스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윈도우10 라이센스 종류 이제 더 이상 헷갈리지 말자!


STEP 1 – 설치 USB 만들기

먼저 설치용 USB를 만들기 위해서 용량이 8GB 이상인 비어있는 USB 메모리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호환성을 위해 USB를 미리 FAT32 파일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USB를 FAT32로 포맷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USB가 장착된 상태에서 윈도우키+E를 눌러 탐색기를 열어줍니다. 그 후 왼쪽에서 USB를 찾아 우클릭을 하면 ‘포맷’이라는 기능이 있는데 이 기능을 활용하면 되겠습니다.

포맷이 모두 끝났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10 다운로드 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다운로드
설치 USB 만들기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 후 조금 스크롤을 내려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현재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 기준으로 MediaCreationTool21H2.exe이라는 실행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버전에 따라 파일명은 조금씩 바뀔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에 USB가 장착된 상태에서 다운로드 받은 MediaCreationTool21H2.exe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1
윈도우10 USB 도구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러면 위와 같은 과정이 지나가고 아래와 같이 동의 관련 내용이 나옵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2 동의
윈도우10 USB 도구 – 조건 및 동의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여기서 우측하단의 동의 버튼을 클릭해서 다음으로 진행합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3 설치미디어선택
윈도우10 USB 도구 – 설치미디어 선택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다른 PC용 설치미디어 만들기를 선택한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4 언어아키텍쳐
윈도우10 USB 도구 – 언어, 아키텍쳐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러면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이 자동으로 체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위에 언어, 에디션, 아키텍쳐를 확인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언어나 아키텍쳐를 변경하고 싶다면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을 체크 해제하면 아래와 같이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4 언어아키텍쳐 변경
윈도우10 USB 도구 – 언어, 아키텍쳐 – 변경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언어는 필요에 따라 바꿔볼 수 있고 에디션은 윈도우10으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32비트 설치를 원하면 해당 옵션을 선택해주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32비트는 램을 4GB까지만 지원하며 최근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좋지 않기 때문에 특별한 목적으로 32비트를 설치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대로 두시기 바랍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5 만들미디어선택
윈도우10 USB 도구 – USB로 만들기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다음 과정에서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선택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참고로 아래에 있는 ISO란 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의미하는데요. 여기서 이미지라는 것은 사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CD나 DVD의 전체 파일과 폴더를 확장자가 iso인 파일 하나로 압축해 놓은 형태를 뜻합니다.

대표적인 ISO의 활용 중 하나는 실제로는 DVD가 없지만 컴퓨터가 마치 DVD를 삽입한 것처럼 인식하게 하는 드라이브 가상화입니다. 지금은 USB로 진행하기 때문에 관련이 없습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6 USB선택
윈도우10 USB 도구 – USB 선택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현재 저는 미리 ‘WINDOW10’이라는 이름으로 포맷한 USB 하나만 장착해 두었습니다. 이 USB를 선택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USB가 여러 개 장착되어 있다면 헷갈릴 수 있으므로 잘 구분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7 윈도우10다운로드
윈도우10 USB 도구 – 윈도우10 다운로드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러면 먼저 위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윈도우10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8 윈도우10USB제작
윈도우10 USB 도구 – 윈도우10 USB 제작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완료되면 자동으로 설치용 USB로 만드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여기까지의 과정은 인터넷 및 컴퓨터와 USB의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20~30분 내외입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9 완료
윈도우10 USB 도구 – 윈도우10 USB 제작 완료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완료 되면 위와 같이 표시해주며 우측 하단의 마침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과정이 완료됩니다.

이제 USB의 내용물을 확인해 보기 위해 윈도우+E키를 눌러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10 완료후확인
윈도우10 USB 도구 – 만들기 완료 후 확인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러면 USB의 이름이 ‘ESD-USB’로 바뀌어있고 안에 설치용 파일들이 정상적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처음에 8GB 이상의 USB를 준비하라고 얘기 드렸는데 실제로 USB의 용량을 얼마나 차지했는지 보기 위해 USB를 우클릭 후 속성을 클릭해 보겠습니다.

윈도우10 설치 USB도구 실행 10 완료후확인용량
윈도우10 USB 도구 – 크기 확인 (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그러면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약 4.4GB의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8GB 이상의 USB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설치용 USB를 제작했으므로 컴퓨터에 본격적으로 설치를 할 차례입니다.


❗알고 넘어가기 – 랜카드 드라이버 미리 백업해두기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먼저 다른 USB를 준비해서 랜카드 드라이버를 미리 백업해 두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설치 후 컴퓨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들이 잘 설치되어야 하는데요. 만약 설치 후에 바로 랜카드 드라이버가 잡혀서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되면 걱정이 없습니다. 왜냐면 다른 부품들의 드라이버들은 온라인으로 대부분 다운로드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만약 랜카드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인터넷을 할 수 없어서 다른 드라이버들을 설치하는데 고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윈도우 설치 전 3DP Net(랜카드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감지해서 설치를 도와주는 툴)을 미리 다른 USB에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꼭 이 프로그램을 써야하는 것이 아니라 내 컴퓨터의 랜카드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참고로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전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것보다 윈도우10 초기화를 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아래 글에서 자세한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따라하면 실패없는 윈도우10 초기화 가이드 3 STEP!



STEP 2 – BIOS 진입해서 부팅순서 바꾸기

이제 윈도우10을 설치전 BIOS(또는 UEFI)에 들어가서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 USB를 먼저 읽도록 설정을 바꾸어야 합니다.

이 내용이 USB로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특히 컴퓨터 초보자 입장에서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차근차근 내용을 이해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만약 앞의 과정에서 만든 설치 USB를 장착하고 재부팅 후 바로 윈도우 설치 과정으로 진행이 된다면 이 과정은 건너뛰고 바로 다음 과정을 진행하면 되겠습니다.

그럼 앞서 만든 USB를 장착한 상태에서 컴퓨터를 재시작 한 후 BIOS에 진입합니다. 보통 컴퓨터가 켜지자마자 DEL, F2~F12키 중 하나를 컴퓨터 전원을 넣자마자 가볍게 여러 번 눌러주면 되는데요. 컴퓨터가 켜지거나 재시작할 때 모니터 하단에 어떤 키를 누르면 되는지 표시해 줍니다.

어떤 키를 눌러야 하는지는 컴퓨터의 메인보드 제조사나 제품에 따라 서로 다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예시로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3 노트북의 BIOS에서 부팅순서를 변경하는 내용을 설명드립니다. 레노버의 BIOS 진입키는 F2키입니다.

전원을 넣자마자 이 키를 몇 번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상단의 Boot 메뉴를 키보드 화살표 우측키를 눌러서 찾아갑니다.

윈도우 설치 바이오스 부팅순서 변경 1

여기서 자신의 컴퓨터가 화면과 다른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럴 때는 대부분의 경우 메뉴나 항목들 중 ‘Boot’라는 단어가 포함된 부분을 찾아보면 생각보다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내 컴퓨터에서 바이오스에 들어가는 방법이나 들어간 후에 어떤 메뉴를 찾아가야 할 지 잘 모르겠다면 메인보드의 메뉴얼을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예시에서는 오래된 방식의 텍스트 위주의 키보드로 조작하는 BIOS인데요. BIOS는 텍스트 방식인 Legacy BIOS와 마우스로 조작이 가능한 UEFI BIOS가 있습니다.

  • Legacy BIOS : 오래된 방식 / 텍스트 방식으로 키보드로 조작
  • UEFI BIOS : 최근 방식 / 그래픽 환경으로 마우스로 조작

예전에는 대부분이 위 사진처럼 텍스트로 조작하는 Legacy BIOS였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더 그래픽적으로 돋보이고 다양한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마우스로 조작가능한 UEFI 방식입니다.

(참고로 UEFI라도 텍스트 환경일 수 있지만 단순히 텍스트 환경=BIOS, 그래픽 환경=UEFI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어서 키보드 우측화살키로 Boot메뉴로 오면 아래와 같은 옵션들이 보입니다.

윈도우 설치 바이오스 부팅순서 변경 2

그러면 위와 같이 USB Boot라는 옵션에서 ENTER키를 눌러 Enable로 설정합니다. 이 USB Boot를 Enable를 설정한다는 것은 USB와 컴퓨터의 저장장치 중 USB를 1순위로 읽어들인다는 의미입니다.

만약 이 부분을 ENTER키를 눌러 Disable로 설정하면 장착된 USB를 무시하고 컴퓨터의 저장장치를 1순위로 부팅을 시도합니다.

이제 부팅순서를 변경했으므로 키보드의 화살표키로 우측 상단의 EXIT로 이동합니다.

윈도우 설치 바이오스 부팅순서 변경 3

그 후 Exit Saving Changes를 누르면 변경사항이 저장된 채로 재부팅이 됩니다. 이제 재부팅이 되면서 컴퓨터 자체의 저장장치보다 새로 장착된 윈도우 설치 USB를 먼저 읽어들여 윈도우 설치 과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레노버 노트북의 경우 만약 이렇게 설정한 후에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컴퓨터를 재부팅 후 F12키를 누르면 Boot Manager라는 메뉴에 진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 장착한 USB를 찾아 선택해 ENTER키를 누르면 됩니다.

핵심은 컴퓨터가 부팅될 때 USB를 가장 먼저 읽도록 BIOS에서 설정해주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윈도우를 설치하기 전 BIOS에서 부팅순서 바꾸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제 실제로 윈도우를 설치하는 과정이 남았습니다.


STEP 3 – 윈도우10 설치하기

BIOS 작업까지 했다면 이제 윈도우10을 설치할 차례입니다.

앞의 내용을 잘 따라왔다면 재부팅 후 USB를 먼저 읽어들여 설치과정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32비트, 64비트 선택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아키텍쳐 선택

여기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64비트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마우스로 조작가능한 윈도우 설치과정에 들어서게 되는데요. 여기까지 왔다면 어려운 부분은 거의 대부분 지났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1 언어시간키보드

언어, 시간, 키보드를 확인하고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약 마우스가 준비되지 않았거나 활성화되지 않아서 키보드로만 작업해야 한다면 키보드 ALT+N을 눌러서 다음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진행과정에서 클릭할 수 있는 버튼이 나올 때 ALT와 우측의 알파벳을 같이 누르면 해당 버튼이 클릭이 된다는 점을 참고해 주세요.

또한 TAB키를 이용하면 화면에 있는 선택 버튼을 하나씩 건너뛸 수도 있어서 TAB키를 여러번 누른 후 누르고자 버튼을 찾아가서 ENTER키를 눌러도 되겠습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2 지금설치

다음으로 중앙의 지금 설치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일하게 ALT+I(알파벳 아이)키를 눌러서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3 정품키

그러면 위와 같이 정품키를 입력하는 칸이 나옵니다. 이 칸에 25자리의 영문과 숫자가 혼합된 정품키를 입력한 뒤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알파벳은 자동으로 대문자로 입력되고 만약 정품키를 모르거나 나중에 인증하고 싶다면 하단 중앙 근처의 제품 키가 없음을 눌러 진행합니다. (정품키가 없어도 설치자체는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4 약관

그러면 라이센스에 관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왼쪽 하단의 동의함에 체크한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해 진행합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5 유형

그러면 2가지 설치 유형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 중 ‘사용자 지정 : Windows만 설치’를 클릭합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6 드라이브

그러면 위와 같이 컴퓨터에 장착된 저장장치(SSD)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측 아래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7 드라이브 설정

그러면 하단에 크기 부분에 MB 단위로 드라이브 전체크기가 자동으로 잡혀서 보여집니다. 위 예시의 경우 256GB의 SSD입니다. 보면 그보다 작은 약 244GB가 전체크기로 잡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실제로 알고 있는 용량보다 작게 보이는 것이 정상입니다.

여기서 저장장치를 여러 개로 나누지 않고 통으로 하나로 사용한다면 그대로 두고 우측의 적용 버튼을 클릭합니다.


📖 짤막 지식 – 파티션(Partition)이란?

여기서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 잠깐 파티션에 대한 얘기를 드릴까 합니다.

바로 앞에서 저장장치의 크기를 지정하는 과정이 있었는데요.

여기서 저장장치를 이론적으로 여러개의 드라이브로 나누어서 C드라이브에는 윈도우를 설치하고 D드라이브에는 자료를 저장하는 등 서로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약 이렇게 둘로 나누고 싶다면 앞의 과정에서 크기를 122000(122GB)와 같이 원하는 드라이브의 용량을 지정한 후 적용을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남은 나머지 용량에 대해서는 새로 만들기 버튼을 이용해서 동일한 과정을 반복해주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나뉘어진 각각을 파티션이라 하고 이 과정을 ‘파티션을 나눈다’고 합니다.

이렇게 나눌 때 용량은 자신이 원하는대로 지정해서 여러개로 나눌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별한 이유 없이 2개 이상으로 나누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왜냐면 사용자는 이 과정에서 나눈 파티션들을 하나의 드라이브로 사용하게 되는데요. 이 때 용량이 너무 작으면 사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8 확인

그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아래와 같이 필요한 드라이브들이 설정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9 드라이브 설정 완료

위에 보면 드라이브 0이 공통이고 파티션 1(시스템), 파티션 2(MSR(예약)), 파티션 3(주)라고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물리적인 저장장치 1개(드라이브 0)를 논리적으로 나눈 녀석들(파티션 1~3)이 있다는 뜻입니다.

초보자분들의 경우 이렇게 파티션을 다루는 것이 조금은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 이론적으로 나눈다고 이해하면 되기 때문에 크게 어려운 내용은 없습니다.

우측의 종류에서 시스템, MSR(예약)은 그냥 두고 ‘주’라고 되어있는, 용량이 238.4GB로 가장 큰 파티션 3을 선택 후 우측 하단의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되겠습니다. 이 부분이 실제로 윈도우가 설치될 파티션입니다.

참고로 위 예시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복구 파티션이라는 녀석도 같이 보일 수 있는데요. 이 파티션은 말 그대로 윈도우에 이상이 생긴 경우 복구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억지로 지우거나 변경하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 부분이 궁금한 분들을 위해 간단히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 파티션 1 (시스템, 100MB) : 앞서 BIOS 부분에서 설명드린 UEFI와 관련되어 만들어두는 영역으로 가능하면 그대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파티션2 (MSR(예약), 16MB) : GPT/MBR이라는 것과 관련된 영역으로 마찬가지로 그대로 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이와 관련해서 더 자세히 알아 보고 싶다면 마이크로소프트의 UEFI/GPT 기반 하드드라이브 파티션 문서페이지를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윈도우10 설치 과정 10 설치진행

이제 위와 같이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고 완료가 되면 재부팅이 됩니다. 그 다음부터는 윈도우의 설정과정이 진행됩니다.

여기까지 왔다면 이제 윈도우 설치는 거의 끝났습니다. 이제 다음 과정은 예를 들어 컴퓨터의 위치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활용하는 것을 동의할 것인지,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 할 것인지 등 읽어보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내용들로 진행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하나 읽어보며 설정하기만 하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윈도우10 설치하기 과정을 마칩니다. 글로 자세히 설명하려 하다보니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실제로 한 번 해보면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은 과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초보자분들도 따라하며 설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설치 후 해야할 일

앞의 내용을 참고해 컴퓨터에 윈도우10을 설치하는 과정을 모두 이해하셨나요?

윈도우 설치 후 바로 컴퓨터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 전에 필수적으로 해야할 일들이 있습니다.

이번 장은 윈도우 설치 후 기본적으로 해야 할 일들에 대해 모두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사용자에 따라 자신이 필요한 대로 사용하면 되지만 아래 내용들은 공통적으로 해야만 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하기

윈도우 설치가 모두 완료되었다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윈도우 업데이트입니다.

윈도우는 출시된 후 지속적으로 오류나 개선사항 등이 업데이트로 배포됩니다. 이러한 업데이트를 적용해 주어야 컴퓨터를 사용하며 생기는 다양한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업데이트를 해야 드라이버와 관련된 문제도 줄어들게 됩니다. 윈도우10을 새로 설치하면 컴퓨터 부품 각각의 드라이버(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연동시켜주는 소프트웨어의 일종)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데요. 이러한 드라이버들이 보통 최근의 업데이트를 기반으로 해서 배포가 됩니다.

먼저 좌측 하단의 윈도우 아이콘 클릭후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1
윈도우 아이콘 – 설정

그러면 아래와 같이 설정창이 열리는데 여기서 제일 아래로 내려가서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2
윈도우 아이콘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그러면 아래와 같이 윈도우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는 메뉴로 들어가게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3
윈도우 아이콘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업데이트 확인

그리고 우측 상단의 업데이트 확인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어떤 업데이트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시작합니다.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4
윈도우 아이콘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업데이트 확인

그 후 자동으로 아래와 같이 필요한 업데이트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게 됩니다.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5
윈도우 아이콘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업데이트 다운로드

그리고 업데이트 설치 중 아래와 같이 재시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윈도우10 설치 후 업데이트 6
윈도우 아이콘 –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업데이트 중 재시작

이 때 지금 다시 시작 버튼을 눌러도 업데이트에 이상이 없도록 나머지 업데이트들은 다운로드와 설치가 보류되므로 안심하고 눌러서 필요한 업데이트를 설치해 주면 되겠습니다. 필요에 따라 이러한 재시작을 몇 번 한 후에 모든 업데이트 설치가 완료될 수도 있습니다.

업데이트들은 윈도우10이 발매된 후 상당히 많이 누적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립니다. 버전에 따라 몇 시간씩 걸리기도 하지만 꼭 업데이트 받는 것이 좋습니다.


드라이버 설치하기

드라이버는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연동시켜주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일종입니다.

컴퓨터는 여러가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 녀석들은 거의 모두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사실 기본적으로 윈도우가 다양한 드라이버들을 이미 가지고 있긴 합니다. 하지만 윈도우가 모든 제조사의 모든 제품에 대한 드라이버를 지원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윈도우 설치 후에는 윈도우의 기본 드라이버로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이 안 될 수도 있죠.

예를 들어 윈도우 설치 후 아무 설정도 하지 않았는데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마우스의 기본 드라이버를 윈도우가 이미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윈도우 설치 후 스피커 사운드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내 컴퓨터의 사운드카드에 대해 윈도우가 적절한 드라이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윈도우 설치 후 컴퓨터 부품들 각각에 대한 드라이버를 최신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때 직접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해당 모델을 찾아 설치해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컴퓨터 초보자의 입장에서 이렇게 하나하나 찾아가며 설치하기가 무척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동으로 내 컴퓨터의 드라이버를 검색해주고 설치하는 툴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아래에 이러한 자동 드라이버 검색 및 설치 툴을 몇 가지 공유드립니다.

이 중 앞서 얘기드린 것처럼 3DP Net은 윈도우10을 설치하기 전 미리 다른 여분의 USB에 다운로드 받아서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윈도우를 설치 후 인터넷을 통해 다른 드라이버들을 받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업데이트를 하고 드라이버도 모두 설치했다면 이제 사용할 준비는 거의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들을 하나씩 설치하면서 사용하면 되는데요. 여기서는 개인적으로도 사용하고 주로 많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컴퓨터를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카테고리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1개만 설치해서 가능하면 같은 기능의 소프트웨어는 겹치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느려지거나 용량이 부족할 수 있는데 만약 윈도우10 최적화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에서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속도 향상을 위한 윈도우10 최적화 11가지 방법 적용하기!


마치며

여기까지 윈도우10 설치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윈도우10은 설치하기 어렵지 않기 때문에 이 과정을 잘 따라간다면 누구나 손쉽게 설치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단지 초보자분들에게는 이런 과정 자체가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관련 내용을 구글에 검색도 해보면서 직접 시도해 보세요. 그러면 생각보다 쉽게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고 컴퓨터를 다루는데 자신감도 생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