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모니터링 프로그램인 HWMonitor 보는법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글은 이러한 분들을 위해 HWMonitor 보는 방법을 초보자의 입장에서 자세하게 정리해서 공유드리기 위해 작성합니다.
그러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어떻게 컴퓨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지 바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HWMonitor란? 컴퓨터 부품 모니터닝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내 컴퓨터 부품들의 상태를 확인해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CPU에 걸리는 전압은 얼마인지 온도는 몇 도나 되는지 등이 궁금할 때가 있죠.
이 때 HWMonitor는 컴퓨터 부품들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좋은 툴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메인보드, CPU, SSD, 그래픽카드, 네트워크 카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주요 부품들은 모두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셈이죠.
이 외에도 찾아보면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HWiNFO라는 프로그램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HWiNFO라는 프로그램도 상당히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에서 제공하는 정보들은 상당히 구체적이어서 일반적으로 참고할 일은 잘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컴퓨터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러한 프로그램의 사용이 컴퓨터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HWMonitor 보는법 총정리
그러면 이제 HWMonitor 보는법을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참고로 모든 항목을 설명드리는 것은 아니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만을 정리해서 공유드린다는 점을 알려 드립니다.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
(1)HWMonitor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 후 SETUP-ENGLISH 버튼을 클릭합니다.
(2)그 후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해 설치파일을 다운받은 후 실행합니다.
(3)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어떤 폴더에 설치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그대로 두고 Next를 클릭합니다.
(4)다음으로 시작프로그램 폴더를 지정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딱히 바꿀 수 있는 옵션은 없으므로 그대로 두고 Next를 클릭합니다.
(5)바탕화면에 아이콘을 만들것인지 묻는 옵션이 체크된 채로 Next를 클릭합니다.
(6)다음으로 Install을 클릭해 설치를 진행합니다.
(7)마지막으로 View_readme.txt는 체크를 해제 후 Finish를 클릭합니다.
(8)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바로 메인 화면에서 트리 구조의 복잡한 정보들이 보일 것입니다.
최대한 단순화하기 위해 각 부품 이름의 옆에 표시된 ‘-‘를 클릭해서 보면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여기서는 이 순서를 위에서부터 그대로 따르지 않고 CPU, 그래픽카드, SSD, 메인보드 순서로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이 프로그램의 수치들은 왼쪽부터 순서대로 현재값, 최소값, 최대값 순서로 보여진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PU – 온도 / 전력 / 클럭(코어별)
- Temperatures : CPU의 온도 확인
- Powers : CPU가 소비중인 전력 확인 (W단위)
- Clocks : CPU 내의 각각의 코어들의 클럭 확인
1️⃣ Temperatures의 Package 항목에서 CPU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Cores 옆의 +버튼을 클릭하면 코어별 온도도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참고할 일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2️⃣ Powers의 Package 항목에서 CPU의 소비전력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Cores 옆의 +버튼을 클릭하면 코어별 전력을 볼 수 있으나 그렇게까지 확인할 필요는 없을 것입니다.
3️⃣ Clocks항목의 Core #번호 항목에서 CPU내의 각각의 코어에 대한 클럭을 볼 수 있습니다. 클럭이란 간단히 속도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코어란 CPU 내의 일꾼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이 예시의 경우 옥타코어(8개)이기 때문에 0~7까지의 코어를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CPU 온도 확인을 다른 방법들도 궁금하다면 아래 글에서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그래픽카드 – 온도 / 전력 / 클럭(GPU, VRAM)
- Temperatures : GPU의 온도 확인
- Powers : GPU가 소비중인 전력 확인 (W단위)
- Clocks : 그래픽카드의 클럭 확인 (GPU, VRAM)
1️⃣ Temeratures의 GPU 항목에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U는 그래픽카드의 CPU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그래픽카드를 GPU와 동일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래픽카드는 완제품을 의미하고 GPU는 그래픽카드의 핵심 모듈을 의미해서 서로 다릅니다.
2️⃣ Powers의 GPU 항목에서 GPU의 소비전력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평소에는 전력을 많이 소비하지 않지만 그래픽과 관련된 작업을 하면 소비전력이 높아집니다.
3️⃣ Clocks의 Graphics(GPU)와 Memory(VRAM) 항목에서 각각 클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럭은 속도를 의미하는데 현재 이 예시에서 보는 것처럼 사양에 있는 클럭보다 훨씬 낮게 동작하고 있습니다. 필요하면 클럭을 끌어올려 동작합니다.
참고로 GPU와 VRAM과 같은 그래픽카드 사양을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그래픽카드 보는법을 정리한 글의 GPU-Z 부분에서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SSD – 온도 / 사용시간 / 읽기, 쓰기 속도
- Temperatures : SSD의 온도 확인
- Counters : SSD가 사용된 시간 확인
- Speed : SSD의 읽기, 쓰기 속도 확인
1️⃣ Temperatures의 Assembly 항목에서 SSD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D도 발열이 있으나 보통 SSD의 발열이 크게 문제가 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높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을 것입니다. 보통 위 예시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으나 크게 넘어가지는 않습니다.
2️⃣ Counters의 Power-On Hours 항목에서 사용시간을 볼 수 있습니다. 이 항목은 그냥 참고로 확인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보통 SSD의 수명은 시간으로 나타내는데요. 일반적으로 광고되는 이론적인 시간은 약 150만 시간으로 24시간 내내 작동할 시 170년 정도가 되는 매우 긴 시간입니다. 그러므로 제품 자체의 이상이 아니라면 수명에 대해서는 평소에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3️⃣ Speed의 Read Rate(읽기 속도)와 Write Rate(쓰기 속도)에서 각각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0.00MB/s로 표기되어 있는 것은 읽기 쓰기 동작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SSD의 속도를 테스트 할 수 있는 더 좋은 프로그램은 CrystalDiskMark입니다.
만약 CrystalDiskMark의 자세한 사용법을 알고 싶다면 아래 컴퓨터 성능 테스트 방법을 모두 정리한 글의 목차를 참고해서 알 수 있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메인보드 – 온도 / 팬속도 / 이용가능한 메모리 용량
- Temperatures : 메인보드의 온도 확인
- Fans : CPU의 팬속도 확인
- Utilization : 이용가능한 메모리 용량
1️⃣ Temperatures의 TMPIN0 또는 TMPIN1 항목에서 메인보드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항목들은 보통 메인보드에 따라 의미하는 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은 앞쪽에 메인보드 또는 CPU의 온도를 표기해주므로 전체적으로 확인해 보면 되겠습니다.
2️⃣ Fans의 CPU 항목에서 팬속도를 볼 수 있습니다. CPU 팬속도가 메인보드에서 보이는 이유는 CPU 팬이 메인보드에서 전원을 인가받고 모니터링되기 때문입니다. 팬속도가 지나치게 낮다면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3️⃣ Utilization의 Available System Memory 항목에서 이용가능한 메모리 용량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예시의 컴퓨터는 16GB 용량인데 딱히 무거운 작업을 하지 않고 있음에도 사용가능한 메모리가 약 7GB 정도로 표시됩니다. 작업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에는 매우 고용량 시대이기 때문에 이제 컴퓨터 메모리가 16GB 정도는 되어야 안정적일 것입니다.
프로그램 사용시 알아두면 좋은 3가지
앞의 내용을 참고해서 HWMonitor를 보는 간단한 방법을 이해하셨나요? 여기서는 이 프로그램 사용시에 알아야 할 점들에 대해 제 나름의 생각을 공유드립니다.
1️⃣ 첫째로 컴퓨터의 상태를 아는 것은 여러모로 좋다는 점입니다. 아마 컴퓨터 초보자분들이라면 이런 프로그램이 전혀 필요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텐데요.
컴퓨터는 언제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고장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그 중 발열로 인한 문제도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보통 온도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알아두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2️⃣ 둘째로 어느정도 신뢰성이 있지만 이러한 프로그램이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물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컴퓨터는 늘 정확한 결과를 보여준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그런데 보기와는 다르게 컴퓨터는 물론이고 소프트웨어도 완벽하지는 않기 때문에 실제와 다른 정보를 보여줄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틀린 정보를 계속 보여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느정도 신뢰하되 100% 믿지는 않는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입니다.
3️⃣ 셋째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컴퓨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초보자 입장에서는 아마도 용어부터 익숙치 않고 무언가 복잡해 보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컴퓨터는 생각보다 굉장히 복잡한 전자기기이기 때문에 모두 이해하는 것은 사실 일반적인 사용자에게는 쉽지 않습니다. 다만 컴퓨터가 어떤 부품들로 구성되는지 그리고 간단한 동작원리를 알아두거나 사양을 보는 눈을 키우면 컴퓨터를 알아가는데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만약 컴퓨터 사양 확인 방법을 자세히 알고 싶다면 아래 글에서 모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마치며
여기까지 HWMonitor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관심있는 분들이 아니라면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쓰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질 수가 있습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용어들도 괜히 복잡해 보이고 굳이 모니터링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죠.
하지만 컴퓨터에 관심이 있다면 이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내 컴퓨터의 상태도 확인하고 컴퓨터 부품들에 대한 이해도 높아질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글이 HWMonitor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좋은 가이드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