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7가지 및 측정 결과 분석하기!

지금 사용중인 컴퓨터의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과 측정 결과 분석하는 방법이 궁금하신가요?

이 글을 참고하면 인터넷 속도 체크 방법과 간단한 결과 분석 방법에 대해 모두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 바로 인터넷의 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알아야 할 내용들을 알아보세요!


글의 순서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7가지 소개 및 사용법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사이트

안녕하세요! 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IT가이드 컴퓨터앤가이드입니다.

바로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을 소개 드립니다!

속도 측정 사이트는 프로그램 무설치와 설치 사이트가 있는데요.

각각의 사이트에 대해 표기를 하였으니 참고해 주세요.

시작하기 전 와이파이를 사용하다보면 비밀번호를 알고 싶을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아래 포스팅에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 4가지 방법 총정리! (의외로 간단함)


Google Fiber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GoogleFiber
Google Fiber 사이트 (출처 : 구글)

http://speed.googlefiber.net/

Google Fiber는 이름처럼 구글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단순히 우측의 플레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서 속도를 측정해 볼 수 있습니다.


OpenSpeedTest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OpenSpeedTest
OpenSpeedTest 사이트 (출처 : OpenSpeedTest)

https://openspeedtest.com/

OpenSpeedTest는 무료 인터넷 속도 확인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광고가 조금 많이 뜨지만 중앙의 플레이 버튼 아이콘을 클릭해서 속도 확인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Fast.com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Fast.com
Fast.com 사이트 (출처 : Netflix)

https://fast.com/ko/

Fast.com은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테스트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별다른 클릭 없이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바로 속도 측정이 시작됩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한국정보화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트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https://speed.nia.or.kr/index.asp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테스트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좌측 상단의 인터넷 속도 메뉴를 클릭해 프로그램을 설치 후 속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벤치비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벤치비
벤치비 사이트 (출처 : 벤치비)

https://www.benchbee.co.kr

벤치비는 벤치마크를 전문으로 하는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여기에서 자신에게 해당하는 상품과 지역을 선택 후 하단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속도를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SpeedTest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SpeedTest
SpeedTest 사이트 (출처 : Ookla)

https://www.speedtest.net/

SpeedTest는 이름처럼 인터넷 속도 테스트를 위한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단순히 중앙의 GO 버튼을 클릭하면 인터넷 속도 측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CloudFlare (무설치)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CloudFlare
CloudFlare 사이트 (출처 : CloudFlare)

https://speed.cloudflare.com

CloudFlare는 CDN으로 유명한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입니다.

위 링크를 접속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요.

따로 아무 버튼을 클릭하지 않아도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아래와 같이 인터넷 속도 측정을 시작합니다.


인터넷 속도 확인 후 측정 결과 분석방법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결과분석

앞의 내용을 참고해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 해보셨나요?

그렇다면 이제 한 사이트의 측정 결과만을 맞다고 믿는 것보다 여러 사이트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제가 판단하는 간단히 알아볼 수 있는 측정 결과 분석방법을 공유합니다.


다운로드 업로드 결과 정리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결과분석 다운업

제가 소개드린 사이트들 중 아래 3가지 사이트의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 결과만 예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단위 : Mbps)다운로드업로드
벤치비45.074.3
스피드테스트넷56.0878.70
클라우드 플레어76.454.2

보면 다운로드 속도는 대략 45~77Mbps 사이이고 업로드는 54~79Mbps 사이로 측정됨을 실제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속도는 대략 이 수치구간의 중간값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추정치이기 때문에 항상 맞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렇게 보는 것처럼 사이트마다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가 다른데요.

그 이유는 네트워크 환경, 테스트 서버의 위치, 측정을 하는 순간의 네트워크 상황, 브라우저의 설정 상태로 인한 지연 등 정말 다양한 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다운업결과 원인

따라서 한 사이트에서 한 번 측정하고 끝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여러 사이트에서 최소 2번 이상 측정을 하고 이 수치의 최소, 최대치를 보면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 속도 측정값을 조금 더 정확히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예시의 다운로드 속도인 45~77Mbps와 업로드 속도인 54~79Mbps를 우리에게 익숙한 Byte 단위로 바꿔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bps로 표기 (bit)B/s로 표기 (Byte)
다운로드45~77Mbps5.6~9.6MB/s
업로드54~79Mbps6.8~9.9MB/s

그러면 실제로 인터넷으로 부터 다운로드 받는 속도는 대략 초당 5.6~9.6메가바이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업로드하는 속도는 초당 6.8~9.9메가바이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속도는 대략 초당 7.5메가바이트 정도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신사에서 사용하는 bps 단위로 바꾸면 8을 곱해서 다운로드, 업로드가 대략 60Mbps라는 것도 쉽게 알 수 있는데요.

100Mbps 상품이지만 이렇게 실제로는 속도가 생각보다 낮은 것을 실제 수치로 확인해 볼 수 있죠.


핑 결과 정리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결과분석 핑

앞에서 예시로 보여드린 3가지 사이트의 핑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로 벤치비에서는 “지연시간”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습니다)

측정 사이트
벤치비6.34ms
스피드테스트넷3ms
클라우드 플레어5.05ms

위의 3가지 결과값을 보면 모두 10ms 이하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연시간은 거의 없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죠.

대략적으로 아래의 수치를 기준으로 판단해 보시면 됩니다.

  • ~10ms : 우수함
  • ~20ms : 괜찮은 편
  • ~100ms : 지연이 있어 체감상 느리다고 느낄 수도 있음
  • 수백~수천 : 제대로 된 인터넷 사용 어려움

핑 값은 내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져있는지 확인 및 데이터 전송이 딜레이 없이 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핑의 경우 다른 요소는 신경쓰지 말고 지금 내가 측정을 하는 컴퓨터에서의 핑값을 바탕으로 사용중인 인터넷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시면 됩니다.


특정 사이트의 측정결과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생각해 볼 점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결과분석 오류

인터넷 속도 측정하는 여러 개의 사이트 중 특정 사이트에서는 결과치가 예상과 다르게 이상하게 나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벤치비에서의 제가 집에서 사용중인 500Mbps 유선 인터넷 속도 측정 결과입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테스트 오류 벤치비

그리고 스피드테스트넷에서는 벤치비와 동일하게 다운로드, 업로드가 약 474Mbps로 거의 동일하게 나왔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플레어 사이트에서는 다운로드 속도는 정상이지만 업로드 속도가 약 58Mbps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원인을 다 정확히 확인해 볼 순 없으나 아마도 첫째로는 클라우드 플레어의 업로드 테스트에서 25MB, 100MB 바이트 측정이 빠져 있는 것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업로드 자체에 제한이 걸려있지 않을까 추측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인터넷 속도는 네트워크 환경 구성 및 측정하는 서버 위치 등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두 사이트에서 거의 470Mbps로 측정되는 업로드 속도가 클라우드 플레어 사이트에서는 대략 1/10 정도로 나온다는 것은 실제로 사용중인 인터넷에 이상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저는 클라우드 플레어의 결과가 이상했으나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클라우드 플레어가 아닌 다른 사이트에서 지나치게 이상한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다른 사이트들에서 측정해보고 실제로 대용량 파일을 P2P에서 다운로드 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에 업로드 해보는 등의 테스트를 해보면서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죠.


속도 측정에 대해 알아야하는 내용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사전지식

이번에는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과 관련해 알아야 할 중요한 내용에 대해 공유드립니다.

물론 이 내용을 읽지 않아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이번 장은 인터넷 속도와 관련된 용어와 개념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는 내용인데요.

이러한 내용을 알고 나서 테스트 해보면 인터넷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꼭 이해해야 할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 단위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사전지식 단위

인터넷 속도 체크할 때 다운로드 업로드라는 단어를 모르는 분들은 아마도 없겠죠!

그래도 한 번 간단히 정리해두고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단순화 시켜서 내 컴퓨터와 인터넷 둘만 있다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다운로드는 인터넷으로부터 내 컴퓨터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것이고 반대로 업로드는 내 컴퓨터에서 인터넷에 데이터를 올리는 것입니다.

  • 다운로드 : 인터넷 –> 내 컴퓨터
  • 업로드 : 내 컴퓨터 –> 인터넷

이런 다운로드 업로드의 단위는 어느순간부터 bps라는 단위를 많이 쓰는데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bps라는 단위 그 자체입니다.

통신사에서 사용하는 단위인 bps란 bit per second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Byte가 아니라 bit라는 점입니다.

즉 흔히 말하는 컴퓨터의 데이터 단위의 GB=Giga Byte, MB=Mega Byte 에서의 Byte와는 단위가 다르다는 것이죠.

순수한 데이터라는 측면에서 보면 내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받는 데이터도 모두 같은 단위로 쓸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신사에서 인터넷 속도를 얘기 할 때는 왜 bit로 표현하는 bps라는 단위를 쓸까요?

이것은 어떻게 보면 의도된 단위라고 볼 수 있는데요.

1Byte는 8bit와 동일하므로 bit로 표기하면 Byte로 쓰는 것보다 수치가 커보이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속도가 빠른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속도 단위
  • 8bit = 1Byte
  • 100Mbps = 12.5MB/s
  • 1,000Mbps(1Gbps) = 125MB/s -> bps로 쓰는 것이 B/s로 쓰는 것보다 수치가 커서 더 빨라보임

위에서 보는 것처럼 단위 하나만 바꿔도 초당 125메가바이트가 초당 1000메가비트가 되기 때문에 굉장이 빨라 보이죠.

예를 들어 내가 100메가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이 상품은 이론적으로는 100Mbps 즉 초당 100메가비트를 받는다는 얘기죠.

하지만 바이트로 표기하면 12.5MB/s 즉 초당 12.5메가바이트를 받죠.

보통 P2P 사이트에서 자료를 다운로드 받을 때 속도를 보면 8~12 정도로 표기가 되는데요.

그 이유는 보통 이런 사이트들이 Byte로 속도를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이 속도를 bit로 표현하면 8을 곱해서 64~96이 되겠죠?


대칭형 비대칭형이 무엇인지와 주의사항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사전지식 대칭비대칭

인터넷의 종류는 대칭형과 비대칭형이 있다는 것을 들어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대칭형과 비대칭형의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대칭형 :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비슷함 (둘다 빠름)
  • 비대칭형 :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가 다름 (둘 중 하나가 느림)

비대칭형은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의 차이가 무척 크며 보통 다운로드 속도는 제 속도로 나옵니다.

하지만 보통 업로드 속도가 다운로드 속도에 비해 심하게 많이 느리죠.

물론 흔하지는 않지만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반면에 대칭형은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고 거의 비슷합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대칭 비대칭

그렇다면 어떤 방식이 더 좋은 것일까요?

두 가지 방식 중 다운로드 업로드 속도가 비슷한 대칭형이 당연히 훨씬 좋습니다.

오고 가는 것이 둘 다 빠르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점은 통신사에서 고객에게 자세한 설명 없이 비대칭형 인터넷을 설치해 주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가격은 비슷한데 나는 비대칭형 인터넷을 쓰고 있다면 누구나 손해본다고 생각할 것이고 실제로 손해를 보는 것이죠.

이 차이 때문에 인터넷이나 커뮤니티에서도 종종 문제가 제기되곤 하죠.

따라서 인터넷 속도 측정 후 대칭형인지 비대칭형인지를 파악해 만약 비대칭형이라면 통신사에 문의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로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 데스크탑 와이파이 연결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에서 미리 알아야 할 점을 알아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데스크탑 와이파이 연결 전 알아야 할 4가지 및 주의사항!


인터넷 속도를 결정짓는 지연시간에 대해

인터넷 속도 측정 헤딩 사전지식 지연시간

지연시간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터넷을 이용한 어떤 작업을 할 때 인터넷 데이터가 지연이 되어 느린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보통 핑, 레이턴시 등의 용어를 혼합해서 사용하곤 하는데요.

엄밀히 말하자면 핑은 지연시간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툴의 이름이지만 어떤 용어를 써도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인터넷 속도 확인할 때 알아야 할 점은 “지연시간의 크기가 어느정도여야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는지”입니다.

지연시간은 단위를 ms(millisecond)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실제 테스트와 경험 그리고 체감상 구체적인 수치로 얘기를 드리자면 10이하면 우수한 것이고 보통 20이하면 괜찮은 편이며 100근처까지 올라간다면 꽤 지연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백이 넘어간다면 보통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기 어려운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지연시간
  • ~10ms : 우수함
  • ~20ms : 괜찮은 편
  • ~100ms : 지연이 있어 체감상 느리다고 느낄 수도 있음
  • 수백~수천 : 제대로 된 네트워크 연결로 보기 어려움

실제로 분야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업용 서버에서는 핑이 30정도를 넘어선다면 어딘가 문제가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꼭 기업이 아니라 하더라도 온라인 게임을 할 때 지연시간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죠.

인터넷 속도 테스트를 할 때는 항상 어떤 사이트이든지 지연시간을 알려줍니다.

따라서 만약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해결방법을 찾아야 하겠죠.

추가적으로 만약 인터넷이 잘 연결되지 않는 현상을 겪는다면 아래 포스팅도 참고해 보세요.


함께 보면 좋은 연관 포스팅

인터넷 연결 안됨 현상 해결하는 확실한 방법 6가지!


참고사항 – 지터(Jitter)

참고로 흔히 쓰는 용어인 핑, 레이턴시 외에 지터(Jitter)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이 값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면 연속적인 핑 테스트는 결과가 늘 일정하지 않고 어느 한 순간 갑자기 지연시간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 때 이러한 핑 값의 차이를 구하고 다시 그 차이의 평균을 구하는 값이 지터입니다.

뭔가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핑이 낮았다가 갑자기 높아진다는 것은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상황이라는 뜻이 됩니다.

이 때는 핑값의 차이가 커지기 때문에 다시 이 차이의 평균을 구하는 지터값도 역시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핑값이 낮으면 좋은 것처럼 지터값도 낮을 수록 좋습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에 관한 내용을 마칩니다.

인터넷 속도 체크는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제일 좋지만 사실상 자주 확인하는 것을 잊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요금을 내고도 제속도를 보장받지 못하거나 또는 사용하다가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답답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을 텐데요.

이 포스팅이 인터넷 속도 관련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분들에게 유용한 가이드가 되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